[CS] 데스크톱 가상화란

2023. 3. 7. 14:45· CS
목차
  1. 가상화란
  2. 데스크탑 가상화의 종류
  3. 데스크탑 가상화의 역사

가상화란

 

가상화란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실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 하드웨어 플랫폼, 운영 체제, 저장 장치 또는 네트워크와 같은 리소스의 가상 버전 생성을 의미합니다. 

가상화를 사용하면 단일 물리적 리소스에서 여러 가상 인스턴스를 생성하고 실행할 수 있으므로 리소스 활용도가 높아지고 확장성이 향상되며 IT 인프라의 유연성이 향상됩니다.

가상화의 유형

  • 서버 가상화: 여기에는 단일 물리적 서버에서 여러 가상 서버를 실행하는 것이 포함됩니다. 각 가상 서버는 고유한 운영 체제, 응용 프로그램 및 리소스가 있는 독립 시스템으로 작동합니다.

  • 데스크톱 가상화: 여기에는 단일 물리적 시스템에서 여러 가상 데스크톱을 실행하는 것이 포함됩니다. 각 가상 데스크톱은 고유한 운영 체제, 애플리케이션 및 사용자 인터페이스가 있는 독립 시스템으로 작동합니다.

  • 스토리지 가상화: 여기에는 여러 물리적 스토리지 장치를 통합하고 단일 논리 단위로 제공하는 가상 스토리지 장치 생성이 포함됩니다.

  • 네트워크 가상화: 여기에는 단일 물리적 네트워크에서 여러 가상 인스턴스를 생성하고 실행할 수 있는 가상 네트워크 생성이 포함됩니다.

이렇듯 가상화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, 이는 PaaS, Iaas, SaaS 로 연결되는 히스토리를 본다면 더 잘 이해할 수 있다.

 

각각의 영역을 일종의 모듈화 한 것을 가상화라고 부른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.

 

자 그럼 우리 이제 데스크탑 가상화를 조금 더 자세하게 다루어봅시다.

 

데스크탑 가상화의 종류

type 1

  • 베어 메탈 하이퍼바이저라고도 부르며, 호스트 시스템의 하드웨어에서 직접 실행됩니다. 
  • CPU, 메모리 및 스토리지와 같은 하드웨어 리소스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.
  • 유형 1 하이퍼바이저는 일반적으로 설치 공간이 작아서 높은 수준의 성능을 제공합니다.
  • 유형 1 하이퍼바이저의 예로는 VMware ESXi, Microsoft Hyper-V 및 Citrix XenServer가 있습니다.

type 2

  • 호스트형 하이퍼바이저라고도 하는 유형 2 하이퍼바이저는 Windows 또는 Linux와 같은 기존 운영 체제 위에서 실행됩니다. 
  • 호스트 운영 체제에 소프트웨어 응용 프로그램으로 설치되며 해당 운영 체제 내에서 가상화된 환경을 만듭니다. 
  • 유형 1 하이퍼바이저보다 설치 및 관리가 쉽지만 성능이 낮습니다. 
  • 유형 2 하이퍼바이저의 예로는 Oracle VirtualBox, VMware Workstation 및 Parallels Desktop이 있습니다.

데스크탑 가상화의 역사

가상화 키워드는 인텔이 듀얼코어를 내놓기 시작한 2000년대부터 나오기 시작했고 리소스를 분할하는 개념을 가진 컨테이너 또한 놀랍게도 2000년대에 나왔다.

하지만 여러 문제가 있어서 해결하지 못했고, 이 문제들을 네임스페이스, C그룹, SE리눅스가 해결했고 마침내 이를 종합한 도커가 나왔다.

이 도커가 컨테이너를 너무 잘 다뤄서 핫해졌고, 쿠버네틱스까지 이어질 수 있었다.  

https://www.itworld.co.kr/t/62077/VDI/103469

잘 설명한 링크이다. 

도커/컨테이너와 가상화의 차이는 하단에 docker engine 이 있는가 와 hypervisor 가 있는가의 차이가 있다.

 

 

docker 와 docker/kubernetes 의 차이는

docker 에는 container 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docker engine 위에 올라가는 식으로 존재한다면 

kubernetes 에는 docker 에 포함된 container 가 다중으로 존재한다는 차이가 있다
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S] machine code 와 byte code 의 차이  (0) 2023.09.15
[CS] call back 이란, 동기식과 비동기식  (0) 2023.03.14
[네트워크] 포트(port) 란  (2) 2023.03.07
[CS] 블록 암호화, 메시지 다이제스트 차이점  (0) 2023.03.07
[CS] base64 byteToHex 차이점  (0) 2023.03.06
  1. 가상화란
  2. 데스크탑 가상화의 종류
  3. 데스크탑 가상화의 역사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CS] machine code 와 byte code 의 차이
  • [CS] call back 이란, 동기식과 비동기식
  • [네트워크] 포트(port) 란
  • [CS] 블록 암호화, 메시지 다이제스트 차이점
yeonlee
yeonlee
yeonlee
이연
yeonlee
전체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85)
    • 개발 (6)
      • Android Studio (15)
      • Java (15)
      • C (17)
      • HTML,PHP,JS (0)
    • 프로젝트 (1)
    • 일상 (2)
    • CS (27)
      • DB (9)
    • 정보보안기사 (0)
      • 시스템보안 (0)
      • 네트워크보안 (0)
      • 어플리케이션보안 (0)
      • 정보보안일반 (0)
      • 정보보안관리 및 법규 (0)
    • 코딩테스트 (0)
    • 잡동사니 (0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https://hazel-developer.tistory.com/145
  • http://blog.skby.net/cpu-%EB%B9%84%EC%84%A0%EC%A0%90-%EC%8A%A4%EC%BC%80%EC%A4%84%EB%A7%81-%EA%B8%B0%EB%B2%95/
  • ㅇㄹ
  •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HTTP/Messages
  • 자기계발 대학생 명상캠프
  • https://velog.io/@tktnskan/%ED%94%84%EB%A1%9C%EC%84%B8%EC%8A%A4-%EC%93%B0%EB%A0%88%EB%93%9C

최근 댓글

최근 글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v4.2.1
yeonlee
[CS] 데스크톱 가상화란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